마드리갈(Madrigal)
1. 개요
마드리갈(Madrigal)은 르네상스 시대의 무반주 세속 다성 합창곡이라고 요약할 수 있는데, 이탈리아어(라틴어가 아님)로 된 목가적인 서정시, 또는 거기에 붙여진 악곡을 말한다.
종교적인 모테트(Motet)에 대한 세속적인 대위로 생겼기 때문에, 가사의 내용은 주로 남녀간의 사랑과 욕망, 익살과 풍자 또는 목가적인 풍경 등을 다룬 서정시였고 따라서 곡 또한 감상적이고 전원적인 풍을 띄고 있으며 주로 궁중 사교모임에서 불리워 졌다.
마드리갈은 14세기와 16세기 두 가지 type가 있으나, '14세기 마드리갈'은 2-3성의 정형시(3행시와 2행시의 연합)이고, 또 후렴, 즉 리토르렐로(ritornello)가 있는 유절형태의 악곡인데 반하여,
'16세기 마드리갈'은 후렴이 없는 통작형태(음악과 가사의 구절이 틀에 박혀 반복되는 옛 정형시의 어떤 양식도 사용하지 않은 자유로운 형태)로 된 악곡이다.
14세기 마드리갈의 주요 작곡가로는 야코포 다 볼로냐(Jacopo da Bolgna), 지오반니 다 카치아(Giovanni da Cascia), Francesco Landini 등이 있다.
16세기 마드리갈은 시기에 따라 음악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보통 3기로 나누어 지는데, 그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초기(1530 - 1550년 경) : 호모포닉한 작품이 우세하고 3 - 4성이 주였음. 주요 작곡가로는 베르델로(Philippe Verdelot 1475-1535), 아르카델트(J. Arcadelt 1505-1560년 경)등이 있다.
나. 중기(1550 - 1580년 경) : 4-6성, 특히 5성이 주가 되어 모방적인 수법이 사용됨. 가사의 내용, 발음, 억양 등의 보다 좋은 표현을 지향하여 반음계나 음표를 가사의 의미에 맞추어 쓰는 가사 화법(text painting)등의 기법을 도입했음.
주요 작곡가로는 빌라르트(A. Willaert 1490년 경-1562), 로레(C. de Rore 1516-1565), P.몽테(1521-1603), 외 A.가브리엘리(1510년 경-1586), O. Lasso(1532-1594)등이 있다.
다.후기(1580 - 1620년 경) : 마렌치오(L. Marenzio 1553-1599), 제수알도(C. Gesualdo 1560-1613), 몬테베르디(C. Monteverdi 1567-1643)등의 이탈리아 작곡가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성부가 더 확대되었고 대위법과 화성적인 기법, 반음계법, 가사화법 등이 보다 폭 넓게 사용되었다. 또 극적인 형태의 독창성부를 다성부에 포함시켜 마드리갈의 전통적인 다성부 합창에서 탈피하였다.따라서 1620년경부터는 다성창법에 의한 마드리갈은 모습을 감추고 바로크 풍의 칸타타 또는 아리아로 대치되었다.
* 영국의 마드리갈(English Madrigal) : 16세기 후반에 영국에도 이탈리아 마드리갈 영향을 받아 마드리갈의 인기가 높아 널리 유행하였다. 주요 작곡가로는 윌리암 버드(W. Byrd 1543-1623), 몰리(Thomas Morley 1557-1603), 윌비(J. Wilbye 1574-1638), 윌크스(T. Weelkes 1576-1623)등이 있다.
2. 종교적 마드리갈(Madrigal Spiritual)
마드리갈은 본래 세속적인 가사로 시작되었고 이 세속적인 마드리갈의 영향을 받아 이태리, 영국에서 다같이 종교적인 내용을 가사로 한 마드리갈, 즉 종교적 마드리갈(Madrigal Spiritual)이 작곡되었다.
특히 영국에서는 Thomas Morley(1557-1603)를 중심으로 한 Oriana Madrigal(엘리자베스 여왕 시대)이 가정에서부터 시작하여, 결혼식이나 특별한 종교예식, 가정의 특별한 만찬때 전문적인 가수를 초청하여 노래하여 졌다.
종교적 마드리갈은 교회를 중심으로 한 작곡가들이 작곡하여 한 때는 '아베마리아'와 같이 종교적 내용의 가사인 마드리갈이 16세기의 가장 인기있는 곡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또한 당시의 작곡가들은 세속적인 마드리갈과 종교적인 마드리갈을 동시에 작곡하고 연주했으며, 그 중 어떤 곡들은 같은 곡조에 세속적인 가사와 종교적인 가사를 둘 다 사용한 마드리갈도 있다.
종교적 마드리갈의 대부분의 곡들은 신앙에 대한 간증과 하느님을 찬양하는 것, 혹은 하느님의 계시로 인하여 영적인 신앙과 믿음의 표현으로 쓰여 졌다.
곡의 형식은 엄격했으며, 지금 사용하는 찬송가(Strophic Hymn)같이 여러 절수가 있는 것이 아닌, 대위법적 수법(Contrapuntal) 자유모방(Free Imitation), 혹은 Homophony로 작곡되었다.
당시 이태리 마드리갈의 악파에서 이태리 가사의 마드리갈을 가장 많이 쓴 작곡가 Palestrina(1525-1594)와 Victroria(1549-1611)는 가장 아름다운 영적인 마드리갈을 많이 남겼고 특히 팔레스트리나는 그의 전 생애를 통하여 교회를 중심으로 아름답고도 영적, 종교적인 합창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는 56곡의 종교적 마드리갈 과 83곡의 세속적 마드리갈을 작곡하였는데, 전 생애를 통하여 종교적 마드리갈 보다 세속적 마드리갈을 더 많이 작곡한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며 부끄러 하였다.
또 영국의 마드리갈 작곡가 W. Byrd(1543-1623)와 O. Gibbons(1583-1625)는 세속적인 마드리갈을 작곡하는 것보다 좀 더 종교적인 마드리갈을 쓰기 원했고, 후에 많은 종교적 마드리갈을 작곡하였다. 시대적으로 볼 때 당시에는 가톨릭이나 프로테스탄트의 교회 대부분이의 작곡가들이 종교적인 행사나 집회, 예식, 길거리 전도 등과 연결되어 더욱 더 종교적 마드리갈이 중요하게 쓰여졌다.
16세기 영국 에리자베스 시대의 종교적 마드리갈의 형식은 독창을 위한 합창과 혼성 6부로 되었으며, 화성은 선법적(Modal style)으로 엄격하게 작곡되었다. 종교적 마드리갈은 16세기가 그 절정을 이루었으며, 16세기 이후에는 차츰 후퇴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세속적인 마드리갈은 후에 19세기-20세기까지 그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영국의 본 윌리암스, 홀스트, 힌데미트, 엘가 등은 영국 마드리갈의 영향을 받아 20세기 현대 마드리갈의 많은 작품을 남겼다.
* 참고서적 : 최훈차 지음 '합창문헌(Choral Literature)'중에서 일부 인용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상적인 합창소리 (2) (0) | 2012.03.16 |
---|---|
[스크랩] 이상적인 합창소리 (1) (0) | 2012.03.16 |
[스크랩] Phrasing 과 Articulation (0) | 2012.03.16 |
[스크랩] 벨칸토(Bel canto) 창법 (0) | 2012.03.16 |
[스크랩] 음정이 떨어지는 원인과 해결 방법 (0) | 201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