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법 3 (Non Legato 唱法)
* 논 레가토(Non Legato) 창법:
논 레가토는 레가토나 스타카토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논 레가토는 레가토와 같이 음을 연결시키는 것도 아니고, 스타카토와 같이 음을 짧게 끊는 것도 아니다. 피아노의 경우에 새로운 건반을 두드리기 직전에 앞의 음을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건반에서 아주 빠르게 뗀다. 그리고 곧 이어서 새로운 건반을 두드리면 된다. 이렇게 하면 음과 음의 사이는 완전히 분리되면서 연주가 계속되게 된다. 따라서 레가토와 논 레가토의 구별은 되었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스타카토, 그 주에서도 메조 스타카토와의 구별이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앞의 음과 뒤의 음사이에 끊어지는 간격이 최대한도로 좁아지도록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다 빨리 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논 레가토는 정상적인 진행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지시가 없는 한 전제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어야한다. 따라서 스타카토, 레가토, 마르카토 등의 창법으로 노래하라는 지시가 없는 한 악곡은 논 레가토 창법으로 노래해야 한다고 할 수가 있다. 논 레가토 창법은 악곡 전체를 통제하는 기본적인 창법이기 때문이다.
논 레가토 창법으로 노래하는 것은 레가토 창법이나 스타카토 창법으로 노래하는 것과 구별될 수 있어야 한다. 논 레가토와 스타카토와 레가토는 완전히 구별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별을 이해하기 위해서 리오더와 바이올린의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코오더의 경우에 텅깅(tonguing)주법을 음 하나 하나에 적용하면 논 레가토가 되고, 텅깅 주법을 레가토가 시작되는 음에 적용한 후에 공기가 나가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가락만 움직이면 레가토가 된다. 그리고 텅깅 주법을 각 음에 적용하면서 공기가 나가는 시간을 짧게 하면 스타카토가 된다.따라서 리콩더의 경우에도 레가토 주법과 스타카토 주법, 그리고 논 레가토 주법 등의 차이는 분명히 있는 것이라 할 수가 있다(첨부 악보4 참조).
둘째, 논 레가토 창법과 레가토 창법, 그리고 스타카토 창법 등의 차이점은 바이올린의 주법을 살펴 보면 확연히 구분이 된다. 바이올린의 경우에 논 레가토와 레가토, 그리고 스타카토의 구별은 왼손의 운지(fingering)와 오른손의 운궁(bowing)을 적절히 배합하는 방법으로 할 수가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바이올린에서 논 레가토는 오른손의 운궁을 교대로 하여 표현한다. 즉, down 과 up을 교대로 실시하여 운궁함으로 논 레가토의 표현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하게 되면 음과 음의 사이에 미세한 간격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음과 음의 구별이 명확하게 된다.
② 바이올린에서 레가토는 오른손의 운궁을 교대로 하지 않고 down 이나 up중에서 한 가지에 의하여 표현된다. 즉, 몇 개의 연속되는 음을 한 활(bow, arco)로 연주하여 레가토를 표현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면 음과 음의 사이에 간격이 없이 음들이 연결되게 된다.
③ 바이올린에서 스타카토는 오른손의 움직임을 필요한 시간만큼 정지 시킴으로 표현한다. 즉, 오른손이 필요한 시간마큼 움직이면서 소리를 낸 후에, 요구되는 시간만큼 정지하여 소리를 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스타카토가 요구하는 표현이 된다.
이상에서 리코오더와 바이올린의 주법(奏法)을 예로 들어서 논 레가토와 레가토, 그리고 스타카토 등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논 레가토에 대한 이해는 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歌唱의 경우에는 음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가사도 있기 때문에 논 레가토 창법으로 노래 할 때에 가사의 발음을 적적하게 조절해야만 한다. 즉, 앞 음표에 붙어 있는 가사의 종성과 뒷 음표에 붙어 있는 가사의 초성이 동시에 발음되지 않고 각각 발음되도록 해서 음표와 음표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노래해야 한다. 그러나 이 때 음표와 음표의 사이에 간격이 너무 넓어지지 않도록 노래해야 한다.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창법 5 (Messa di Voce & Mezza Voce) (0) | 2012.03.16 |
---|---|
[스크랩] 창법 4 ( Marcato 唱法 & Humming 唱法) (0) | 2012.03.16 |
[스크랩] 창법 2 ( Staccato 唱法 ) (0) | 2012.03.16 |
[스크랩] 창법 1 (Legato 唱法) (0) | 2012.03.16 |
[스크랩] VIVALDI 의 `GLORIA` (음악감상) (0) | 201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