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스크랩] 그레고리오 성가의 특성

teles 2012. 3. 16. 15:05

< 그레고리오 성가의 특성 >

 

1. 그레고리오 성가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례음악이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예절과 더불어 발전 정립되었다. 가사는 신.구약 성서에서 발췌한 것과 신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성음악(Musica Sacra)라고도 함.

2. 그레고리오 성가는 단선율 음악이다. 반주도 원래는 없다.
모든 고전 음악이 그렇듯이 그레고리오 성가는 단성 음악(monodia 혹은 plain song)이다. 독창과 제창곡으로 되어있고, 근대화성을 능가하는 기능을 가졌으며, 차분한 멜로디는 다성적 .화성적 뒷받임없이도 종교적 신심(信心)을 북돋아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3. 그레고리오 성가는 8개의 선법(旋法 modality)으로 이루어진 전음계(全音階, diatonic)적 음악이다
인공적인 반음요소(chromatic semitone)는 없고 자연적인 반음[Mi-Fa, Si-Do, La-Sib]만 있다. 따라서 단순하면서도 순백하고, 고전적인 정감을 준다.

4. 그레고리오 성가는 장식적인 멜로디를 갖는 음악이다.(*)
이 장식적(裝飾的)인 멜로디가 그레고리오 성가의 생명이며 상징으로, 더욱 풍부한 감성을 전해주는 요소가 된다.

5. 그레고리오 성가는 현대 음악처럼 규칙적이고 기계적인 리듬이 아니라, 자유롭고 유동적인 리듬을 가진 음악이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일정 시가(時價)를 갖는 리듬으로 이루어진 음악이다. 다시말해서 한 박자를 절대적 기본 시가로 하는 근대 음악과 같은 다양하게 세분된 리듬이 아니고, 2 박자와 3 박자계의 리듬이 혼합, 교체되는 무질서한 배열로 이루어 진다. 또 굴절없는 평탄한 리듬이기 때문에 차분하고 고요한 기구(祈求)의 음악으로서 모습을 갖추고 있다.

6.그레고리오 성가는 가사와 잘 조화된 음악이다.
그레고리오 성가의 가사는 Latin어 뿐이며, 라틴어의 선명한 음율과 억양이 멜로디와 잘 조화를 이루고. 또 가사의 대부분이 산문적이기때문에 자유로운 리듬을 갖고 멜로디와 더욱 잘 조화된다.

7. 그레고리오 성가는 숭고한 기구(祈求)의 음악이다.
교회 예절과 분리해서 존립할수 없는 그레고리오 성가는 곡의 흐름이나 가사 내용이 기도를 노래한 것이다. 따라서 기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가사로 말미암아 명실공히 祈求 음악으로서의 모습을 갗추고 있다.

* 참고사항: 그레고리오 성가 가사에 음을 붙이는 방법(4가지)

1) Syllabic 방법:: 1개의 음절에 1개의 음표를 붙인 것. 평이하고 단순한 분위기를 줌.
2) Neumatic 방법: 1개의 음절에 2-4개의 음표를 붙인 것. 부드럽고 흐름이 있는 분위기를 갖게됨.
3) Melismatic 방법: 1개의 음절에 여러개의 음표를 붙인 것. 음악이 아주 화려한 느낌(분위기)을 줌.
4) Psalmodic 방법: 여러개의 음절이 1개의 음표에 붙은 것. 이 경우는 화답송의 시편에서 쉽게 찾아 볼수있다.


* <참고서적: 차인현 지음 '그레고리오 성가'/ 김건정 지음 '교회전례음악'>

출처 : 성 비오 교회음악 연구소
글쓴이 : 이윤재님 원글보기
메모 :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활 찬송 (EXSULTET)  (0) 2012.03.16
[스크랩] 합창음악의 기본요건들  (0) 2012.03.16
[스크랩] 그레고리오 성가란?  (0) 2012.03.16
[스크랩] 화성학 기초 (4)  (0) 2012.03.16
[스크랩] 화성학 기초 (3)  (0) 201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