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다성음악(Polyphony) 합창시 유의사항
* 다성음악(Polyphony) 합창시 유의사항
1. 개요
다성음악(Polyphony), 다성(多聲)이라는 말로도 알 수 있듯이 'Poly- '는 많은 것을 나태내는 접두어 이며, 복수(複數)성부를 가진 음악을 이렇게 부른다.
19세기까지의 유럽음악 약 1,000 년의 역사를 개관할 때, 그레고리오 성가 같은 단선율의 것(모노디)에서 시작하여 많은 선율을 결합하던 양식을 거쳐 화성음악으로 되었으며 그 복수(複數)인 옆으로의 흐름을 사용하고 있는 시대를 폴리포니라고 한다.
폴리포니 음악의 작곡 기술은 역사적으로 보아서 이른바 오르가눔부터 시작하여 여러 가지 스타일이 쓰여져 왔으나 네델란드 악파에 이르러 대단히 복잡한 기교를 전개하고 팔레스트리나에 있어서 그 성숙한 정점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기법으로서는 대위법(Contrapunctus)이라는 형태로 행해지는 것이 대표적이며 악곡 형식으로서는 푸가가 가장 잘 완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곡 중에서 화성양식과 대위법 양식과는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보완하는 것이며, 바하는 팔레스트리나와는 다른 양식인 대위법에 의해서 양자를 고도로 조화시킨 음악을 만들었다.
2. 다성음악(Polyphony) 합창시 유의사항
1. 각 파트의 선율선이 대등하므로, 모든 파트의 파트연습이 확실히 잡혀 있어야 한다.
2. 가사말이 각 파트마다 다를수 있기에 보다 정제된(깨끗한) 소리와 강하지 않은 유려한 창법으로 순화된 고운 발음과 발성을 요한다.
3. 모든 성부가 일정한 Dynamic 에 일체화 될수 없으며, 극단적인 pp 나 ff 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4. 성부별로 각기 달리 나오는 예가 일반적이며, 따라서 구절(phrasing)도 다르기에 숨 쉬는 곳을 명확히 정하고 구절법을 미리 정해 놓아야 한다.
5. 지휘자는 파트별로 출,퇴를 명확히 sign 해 주어야 한다.
6. 정선율(Cantus Firmus) 가락은 특별히 부각시킬수 있다.
7. 합창단원은 특히 잘 훈련되고 정선된 요원으로 구성되고 개인의 개성적 특성은 허용될수 없다.
8. 10 여명의 중창 규모에서 최대 40명 정도의 중 소합창 규모가 적합하다.
9. 발성이 잘 정제되고 순화되고 특히 격렬한 Vibration 은 금한다. 반대로 뻣뻣한 소리도 금하며, 오직 기식에 띄운 부드럽고 고운.맑은 소리를 요한다.
10. 무반주 합창이기에 음을 능력에 맞추어 높이거나 낮게 잡아 부를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지휘자는 필히 첫음,첫코드를 적정하게 잡아 주어야한다.
11. 다성부 곡일수록 파트간의 소리의 Balance 와 위치선정 그리고 음향공간에 유의해야 한다.
* 참고서적: 음악용어사전(세광출판사) 및 조풍상 교수 성가세미나 교재 중에서